안녕하세요.
저번 블로그에서 성적관리프로그램을 만들면서 기초함수를 배웠습니다.
이번에는 가계부를 만들면서 분류와 정렬을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이번에는 가계부를 기록하고 그 기록에 의하여 분류하여 각종 함수를 넣어 총금액 또는 순위 등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보통 가계부는 이렇게 만듭니다.
매일 매일 기록을 통하여 분류와 항목, 금액을 기록합니다.
일자 | 분류 | 항목 | 수입 | 지출 | 결제 수단 | 비고 |
2025-05-01 | 식비 | 점심 식사 | 8,000 | 카드 | 회사 근처 식당 | |
2025-05-01 | 급여 | 월급 | 3,000,000 | 이체 | ||
2025-05-03 | 교통 | 택시비 | 12,000 | 현금 | ||
... | ... | ... | ... | ... | ... | ... |
위의 표처럼 기록한 내용을 수입은 수입대로 또는 분류별로 총합계를 내거나 일자별 총계를 낼 수 있겠죠.
그러면 아래와 같이 또 다른 표가 만들어집니다.
분 류 | 수입 합계 | 지출 합계 |
식비 | 0 | 240,000 |
교통 | 0 | 80,000 |
급여 | 3,000,000 | 0 |
기타 | 0 | 50,000 |
합계 | 3,000,000 | 370,000 |
위의 표는 첫 번째 표의 각종 기록 중에서 두 번째 열 분류별로 합계를 구하는 함수를 구하는 엑셀을 만들었습니다.
위의 두 번째 표에서 조건을 걸어 합계를 구하는 함수는 SUMIF입니다.
SUMIF는 합계를 구하는 SUM과 조건을 구하는 IF가 합쳐서 두 개의 함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함수입니다.
SUM 함수와 IF 함수는 기존 성적 관리 블로그에서 설명하였으니 각각의 함수 사용하는 방법은 기존 블로그를 참고 바랍니다.
당연히 두 함수가 합쳐서 사용되니 각각 따로 사용되었을 때의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.
사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표시합니다.
=SUMIF(조건을 찾을 범위, 해당 조건, 합계를 구할 범위)
2025-05-01 | 식비 | 4 | 식비 합 | =SUMIF(B1:B7,"식비",C1:C7) |
2025-05-03 | 교통비 | 10 | 5월5일 이전 합 | =SUMIF(A1:A7,"<2025-05-05",C1:C7) |
2025-05-05 | 학원비 | 600 | 15이상 지출 합 | =SUMIF(C1:C7,>=15) |
2025-05-10 | 교통비 | 5 | 5월10일 지출 합 | =SUMIF(A1:A7,"2025-05-10",C1:C7) |
2025-05-10 | 기타 | 4 | ||
2025-06-10 | 식비 | 15 | ||
2025-06-30 | 식비 | 20 |
위의 표에서 SUMIF 여러 가지 수식을 사용하였습니다.
첫 번째 수식은 두 번째 B 열에서 "식비"를 찾아서 같은 같은 행의 C 열의 합을 구하는 수식
두 번째 수식은 첫 번째 A 열에서 "2025-05-05"이전 날짜를 찾아서 같은 행의 C 열의 합을 구하는 수식
세 번째 수식은 세 번째 C 열에서 15 이상을 찾아서 해당 수의 합계를 구하는 수식. 세 번째 수식에서 주의할 점은 합계를 구할 범위가 없습니다. 해당 수식이 없으면 첫 번째 범위를 그대로 사용합니다.
네 번째 수식은 첫 번째 A 열에서 "2025-05-10"을 찾아서 같은 행의 C 열의 합을 구하는 수식
위의 수식에서 조건을 표시할 때 텍스트는 글자 앞뒤로 ""를 표시해야 텍스트라고 인식합니다.
""표시는 SUMIF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함수에 공통으로 사용합니다.
오늘은 엑셀로 가계부 만들기 첫 번째 시간이었습니다.